당뇨 정상 수치(공복, 식전, 식후, 평균 혈당 수치) – 이거면 혈당 끝

당뇨 정상 수치(공복, 식전, 식후, 평균 혈당 수치, 전당뇨 수치, 식후 1시간 혈당 정상 수치)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당뇨원인 및 초기증상, 당뇨식단, 당뇨 진단 전 실비보험 가입해야 하는 이유 등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꼭 알아둬야 하는 내용들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당뇨 정상 수치(공복, 식전, 식후, 평균 혈당 수치)

1. 당뇨 정상 수치 총정리

당뇨 공복혈당 정상수치

구분정상수치조절목표
공복혈당70~100 mg/dl80~130 mg/dL
식후 2시간 혈당90~140 mg/dL<180 mg/dL
당화혈색소5.7% 미만6.5% 미만

공복혈당 정상수치는 70~100 사이 입니다. 그리고 식후 2시간 혈당 정상 수치는 90~140 사이 입니다. 당화혈색소로 따지면 5.7% 미만이 정상수치 입니다.

하지만 당뇨병을 앓고 있는 분들은 조절목표를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공복혈당은 80~130, 식후 2시간 혈당은 180 미만, 당화혈색소는 6.5% 미만으로 설정해놓고 관리를 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심장마비, 뇌졸중, 신부전, 망막증, 신경합병증 등과 같은 만성 합병증에 걸릴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당뇨 식후혈당 정상수치

정상적으로 식사를 하고 난 이후 2시간이 흘렀을 때 식후혈당 정상수치는 140 미만 입니다. 만약 2시간 식후혈당이 140~199 사이로 나왔다면 당뇨 전단계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식후 2시간 혈당이 200을 넘을 경우엔 당뇨로 진단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식후 2시간 혈당 정상수치 – 140미만
  • 140~199은 당뇨 전단계 의심
  • 200 이상은 당뇨

당뇨 식후 1시간 혈당 정상수치

식후 1시간 혈당 정상수치는 180mg/dl 미만이면 정상으로 간주합니다.

당뇨를 진단하는 검사들이 여러가지 있습니다. 그 중 경구포도당 부하검사라는 것이 있습니다.

75g의 포도당을 먹고 혈당과 인슐린의 반응을 평가해 정상, 당뇨 전단계, 당뇨병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75g 포도당 먹기 전 혈당 체크
  • 75g 포도당 먹은 후 30분, 60분, 90분, 120분 혈당 체크

위와 같이 75g의 포도당을 먹고 혈당체크를 합니다. 그랬을 때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보고 정상인지, 내당능인지, 당뇨인지 체크합니다.

  • 공복에 126mg/dl 이상이거나 2시간에 200mg/dl 넘으면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 공복에 110mg/dl 미만, 2시간에 140mg/dl 미만이면 정상입니다.
  • 공복에 110~125mg, 또는 2시간에 140~200mg/dl이면 내당능장애로 진단합니다.

경구포도당 부하 검사는 간단하지만 그 결과를 보고 인슐린 분비 능력의 문제인지, 저항성의 문제인지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당뇨 평균혈당 정상 수치

공복혈당 정상수치는 70~100, 식후 1시간 혈당 정상수치는 180 이하, 식후 2시간 혈당 정상수치는 140이하면 됩니다.

전당뇨 수치

공복 혈당 수치가 100~125mg/dl 사이면 공복혈당장애, 식후 2시간 이후 혈당수치가 140~199mg/dl 사이면 내당능장애라고 진단합니다. 두 가지 상태를 모두 ‘전당뇨’라고 합니다.

2. 당뇨 수치 150 정상일까?

공복혈당 수치가 150이면 문제가 있는 것 입니다. 공복혈당은 70~100 사이가 정상 수치입니다.

하지만 식후 2시간 혈당이 150이라면 어떨까요?

식후 2시간 혈당 정상수치는 140이하이기 때문에 이것도 문제가 있는 것 입니다.

3. 당뇨 원인 및 초기증상

당뇨는 유전, 노화, 식습관, 스트레스, 약물 복용 등의 이유로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뇨 초기증상에는 시력저하, 손발저림, 피부병, 피로감, 구취, 잦은 배뇨, 갈증, 다식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혹시 당뇨 원인과 초기증상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고싶으신 분들이 계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4. 당뇨 식단

당뇨 아침 식단

현미 차조밥쌀 60g, 현미 20g, 차조 10g
원추리 소고기 장국원추리 70g, 소고기 40g
계란 채소말이계란 1개, 당근 10g, 양파 10g, 실파 5g
냉이무침냉이 70g
봄동 부추 겉절이봄동 배추 70g, 부추 10g
깍두기깍두기 50g

당뇨 간식 식단(아침, 점심 사이)

두유200g
자몽150g

당뇨 점심 식단

녹차 수제비밀가루 90g, 녹차 0.6g, 바지락 70g, 느타리버섯 10g, 양파 10g
두릅 초회두릅 70g, 초고추장 10g
데친 두부와 참나물참나물 70g, 두부 80g
도라지볶음도라지 40g
청경채 김치청경채 김치 50g

당뇨 간식 식단(점심, 저녁 사이)

두유200g
딸기150g

당뇨 저녁 식단

흑미 수수밥쌀 50g, 흑미 20g, 차수수 20g
미역국미역 2.5g
가자미구이가자미 50g
근대나무근대 70g
브로콜리 통마늘볶음브로콜리 50g, 통마늘 20g
배추 김치배추 김치 50g

더 많은 당뇨 식단에 대해 알고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5. 당뇨 진단 전 반드시 실비보험 가입해야 하는 이유

만약 자신이 당뇨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챙겨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실비보험 입니다.

요즘에는 당뇨약만 복용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실비보험 가입을 해주는 곳도 있긴 하지만 손가락에 꼽을 정도 입니다. 그리고 병력이 없는 분들보다 비용도 비싸고, 가입도 어렵습니다.

그러니 무조건 당뇨로 확진 받기 전에 실비보험에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현대해상, 삼성화재, 메리츠화재,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등 다양한 실비보험들이 있으니 만약 당뇨병 확진 판정을 받기 전에 실비보험에 가입하고자 하시는 분들 혹은 실비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당뇨 증상(20대, 남자, 여자, 초기증상) 총정리 – 반드시 알아두기

당뇨 증상(20대, 남자, 여자, 초기증상)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 그리고 당뇨 걸리는 이유와 당뇨 걸렸을 때 반드시 해야할 것에 대해 알고자 하시는 분들이라면 오늘 포스팅을 꼭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당뇨 증상(20대, 남자, 여자, 초기증상) 총정리

1. 당뇨 증상 총정리

20대 당뇨 증상

20대 당뇨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에는 20대, 30대처럼 젊은 분들이 당뇨에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20대, 30대처럼 젊은 사람들이 당뇨병에 걸리는 이유는 대부분 비만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체내에 지방조직이 늘어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고, 이로인해 당뇨병에 걸리는 것이죠.

인슐린 호르몬은 우리 몸에 있는 췌장에서 만들어지고 혈당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서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되면 혈당을 컨트롤하는데 문제가 생기고, 결국 당뇨병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 입니다.

20대 당뇨 증상은 보통 다뇨, 다음, 다식 입니다.

  • 다뇨 – 소변을 많이 보는 증상
  • 다음 – 물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마시는 증상
  • 다식 – 평소보다 먹는 양이 급격하게 많아지는 증상

인슐린 기능이 저하됐기 때문에 포도당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소변으로 빠져나갑니다. 그로 인해 몸 속 세포들은 에너지원인 당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영양 결핍을 겪게 되는 것 입니다.

이로인해 몸은 영양 보충을 하려고 평소보다 더 많은 음식을 원하게 됩니다. 하지만 음식을 많이 먹어도 영양분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아 체중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 때 혈당 측정을 해보시면 당뇨병인지 확인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남자 당뇨 증상

  • 체중감소
  • 입냄새(구취)
  • 잇몸질환이 잘 생길 수 있음
  • 시력이 나빠질 수 있음
  • 쉽게 피로해짐
  • 손발이 저릴 수 있음
  • 피부병, 가려움 등

당뇨병에 걸리면 갑자기 체중이 빠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제로 2~3개월 만에 갑자기 체중이 줄어 병원에 가시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리고 입이 마르고, 입냄새가 심하게 나는 것도 당뇨병 증상 중에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혈당이 심하게 높은 분들은 입에서 단내가 나는 경우들도 있다고 합니다.

잇몸이 나빠지거나 충치가 생기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당뇨 때문에 세균 감염에 쉽게 노출되고, 면역기능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당뇨병 증상 중에 시력 저하도 있습니다. 갑자기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또는 시력이 나빠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혈당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망막 출혈 같은 합병증도 생길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주관적인 증상일 수 있는데 당뇨를 앓게되면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그리고 소변으로 당과 함께 여러 영양소들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손발이 자주 저릴 수 있고, 심하게 마비증상까지 올 수 있다고 합니다.

당뇨 증상 중에는 피부병도 있습니다. 피부가 건조해지고, 착색되고, 가려움증이 생길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그리고 긁어서 난 상처가 한두달이 지났는데도 회복이 안되면 당뇨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여자 당뇨 증상

  • 체중감소
  • 입냄새(구취)
  • 잇몸질환이 잘 생길 수 있음
  • 시력이 나빠질 수 있음
  • 쉽게 피로해짐
  • 손발이 저릴 수 있음
  • 피부병, 가려움 등

여자 당뇨 증상도 동일합니다. 다만 추가적으로 질 소양증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 소양증이란 여성의 생식기가 가려운 피부질환으로 외음부 소양증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입니다.

물론 이런것들은 혈당이 높았을 경우에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당뇨가 걸렸어도 특별한 증상이 안나타는 경우들도 있으니 방심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뇨병 초기증상

당뇨병 초기증상은 없는 경우들도 많이 있습니다. 당뇨에 걸렸다고 무조건 갈증, 피로, 체중 감소, 다음, 다뇨, 다식, 눈 침침함, 손발 저림, 질 소양증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니 만약 정말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당뇨병 초기증상이 없더라도 병원에 가서 소변검사와 피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검사비용도 얼마 안들고 확실하게 자신이 당뇨에 걸렸는지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일까요?

지금까지 설명드린 증상들이 나타날 수도 있고,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증상이 100% 나타날 것이다라고 말씀드리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보통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이라고 하면 다음(多飮, 물을 많이 마심), 다뇨(多尿, 소변을 많이 봄), 다식(多食, 많이 먹음)을 뜻 합니다.

2. 당뇨 걸리는 이유

당뇨 걸리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걸리는 이유에는 정말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유전, 바이러스, 비만증, 노화, 잘못된 식사습관, 스트레스 및 약물 등에 의해 발병
  • 노화로 인한 체내의 세포기능 저하
  • 콕사키 바이러스
  • 식습관(고섬유질을 먹지 않고, 국민소득이 높을수록 당뇨병에 걸리는 경우 많음)
  • 스트레스로 인해 코티솔 호르몬 분비(코티솔이 인슐린 작용 방해함)
  • 당뇨병의 유전요인 보유자가 이뇨제, 경구피임약, 갑상선 호르몬 등 약물 복용시 당뇨 걸릴 확률 높아짐

당뇨 걸리는 이유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당뇨병은 고령, 비만, 스트레스, 임신, 감염, 약물(스테로이드제제, 면역억제제, 이뇨제)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해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조금 더 자세히 당뇨 걸리는 이유에 대해 알고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당뇨 증상 있을 때 반드시 해야할 것

만약 자신이 당뇨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챙겨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실비보험 입니다.

요즘에는 당뇨약만 복용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실비보험 가입을 해주는 곳도 있긴 하지만 손가락에 꼽을 정도 입니다. 그리고 병력이 없는 분들보다 비용도 비싸고, 가입도 어렵습니다.

그러니 무조건 당뇨로 확진 받기 전에 실비보험에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현대해상, 삼성화재, 메리츠화재,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등 다양한 실비보험들이 있으니 만약 당뇨병 확진 판정을 받기 전에 실비보험에 가입하고자 하시는 분들 혹은 실비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고객센터 전화번호 총정리(홈택스 이용시 참고)

국세청 고객센터 전화번호전화로 처리가 가능한 업무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청 홈택스는 세금신고(종합소득세, 양도소득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부가세 등) 및 사업자등록 등을 할 때 쓰이는 사이트 입니다.

잘만 활용한다면 편리하게 일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려운 용어와 복잡한 홈페이지 때문에 처음 이용한다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때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를 한다면 조금 더 수월하게 문제 해결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 먼저 전화로 문의가 가능한 업무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국세청 홈택스 고객센터에서 전화로 문의 가능한 업무는 무엇일까?

국세청 홈택스에서 전화로 상담 가능한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현금영수증
  • 전자세금계산서
  • 세금 신고 및 납부(양도세, 증여세, 종부세, 원천세, 종소세, 지급명세서, 인지세 등)
  • 학자금 상환
  • 연말정산
  • 사업자등록 신청 및 정정
  • 증명발급 및 세무서류
  • 세법상담(양도소득세, 증권거래세,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법인세, 상속세 등)

그럼 각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고객센터의 전화번호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국세청 고객센터 전화번호(홈택스 고객센터) 총정리

국세청 전화번호 총정리

국세청 홈택스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126번 입니다.

만약 해외에 거주중인 분들이 계시다면 (82) – 64 – 126으로 전화를 하시면 됩니다.

해당 번호로 전화를 하신 후 자신이 처리하고자 하는 업무에 따라 아래 번호를 추가로 눌러주시면 됩니다.

  • 현금영수증 – 1번 – 1번
  • 전자세금계산서 – 1번 – 2번
  • 신고 및 납부(양도소득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원천세, 종합소득세, 지급명세서, 부가세, 법인세, 기타세목, 인지세) – 1번 – 3번
  • 학자금 상환 – 1번 – 4번
  • 연말정산 – 1번 – 5번
  • 사업자등록 신청 및 정정 – 1번 – 6번
  • 증명발급 및 기타 세무서류 – 1번 – 7번
  • 세법상담 – 2번
국세청 고객센터 전화번호(홈택스 이용시 필독)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추가로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126으로 전화를 하신 후 현금영수증 업무를 보시려면 추가로 1번을 누르시고, 잠시 후 1번을 다시한번 누르시면 됩니다.

연말정산을 하실 분들은 126번으로 전화하신 후 1번을 누르시고, 잠시 후에 5번을 다시한번 누르시면 됩니다.

이제는 이해가 되셨으리라 믿습니다.

추천글

4. 국세청 상담원 연결 바로 되는 전화번호

국세관련 모든 상담이 가능한 국세청 전화번호는 국번없이 126 입니다.

해당 번호로 전화를 하시면 현금영수증, 전자세금계산서, 신고납부(양도세, 증여세, 종부세, 원천세, 종합소득세, 부가세, 법인세, 인지세 등), 학자금 상환, 연말정산, 사업자등록 관련 업무 등에 관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세법상담에 대해서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5. 126 국세청 전화번호로 전화걸고 업무에 따라 어떤 번호를 추가로 눌러야 하는지 총정리

126으로 전화한 후 1번을 누르면 홈택스 관련 상담이 가능합니다.

2번을 누르면 세법 상담이 가능합니다.

3번을 누르시면 각 세무서 납세자보호담당관실로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4번은 탈세 및 각종 제보가 가능한 부서로 연결됩니다.

5번은 종합소득세 관련 상담이 가능한 부서로 연결됩니다.

6번은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관련 상담이 가능한 부서로 연결됩니다.

국세청 전화번호

6. 국세청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근로장려금은 총 4가지 신청방법이 있습니다.

모바일로 안내문을 받은 경우엔 카카오톡이나 문자메세지에 첨부된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리고 손택스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입력하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서면 안내문을 받으신 경우엔 QR코드, 인터넷 홈택스, 모바일 홈택스(손택스), ARS(1544-9944) 등을 통해 신청하시면 됩니다.

모바일이나 서면안내를 모두 받지 못한 경우엔 인터넷 홈택스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국세청 근로장려금 인터넷 홈택스로 신청하는 방법

  • 인터넷 홈택스 접속
  • 로그인
  • 신청 및 제출 메뉴 선택
  • 근로, 자녀 장려금 선택
  • 신청하기 버튼 클릭

국세청 근로장려금 신청에 관한 내용 더 보러가기

7. 국세청 홈택스 고객센터 바로가기

포털사이트에서 홈택스를 검색하시면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크롤을 제일 아래로 내리신 후 우측 하단을 보시면 고객센터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누르시면 국세청 홈택스 고객센터에 바로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8. 서울 국세청 전화번호

부서명전화번호팩스번호전자팩스번호담당사무
운영지원과02-2114-2224~223302-722-05280503-111-9000행정: 2114-2224~2233
인사: 2114-2244~2254
경리: 2114-2264~2271
현장소통: 2114-2284~2289
감사관02-2114-2446,240702-736-59450503-111-9010감사, 감찰업무
징세관
징세팀, 체납관리팀
02-2114-2504~252002-736-59460503-111-9038세수, 징수, 환급, 물납, 체납업무
징세관 체납추적팀02-2114-2524~253402-2285-29100503-111-9039체납자 재산 추적조사
납세자보호담당관
납세자보호1팀
02-2114-2604~260802-720-22020503-111-9021납세자 권익존중, 국민신문고, 고충민원
납세자보호담당관
납세자보호2팀
02-2114-2613~263002-720-22020503-111-9022권리보호요청, 납세자보호위원회
납세자보호담당관
심사팀
02-2114-2623~264002-761-17420503-111-9023불복(이의신청, 과세전적부심사청구)
첨단탈세방지담당관02-2114-2705~270702-549-3413탈세방지
성실납세지원국
부가가치세과
02-2114-2804~280802-736-15030503-111-9051부가세(개인, 법인) 및 소비세
성실납세지원국
소득재산세과
02-2114-2864~287802-736-15010503-110-9037소득 2114-2864
재산 2114-2884
성실납세지원국
법인세과
02-2114-2904~291102-736-15020503-111-9052법인세 및 원천세 신고내용확인
송무국 송무1과02-2114-3102~313802-780-15890503-111-9028소송관리, 행정 및 민사소송 수행
송무국 송무2과02-2114-3152~318402-780-41650503-111-9034행정 및 민사소송 수행
송무국 송무3과02-2114-3202~323402-780-41620503-111-9029행정 및 민사소송 수행
조사1국 조사1과02-2114-3304~331102-736-15050503-111-9060법인 세무조사
조사1국 조사2과02-2114-3424~342902-736-15040503-111-9070법인 세무조사
조사1국 조사3과02-2114-3524~353002-720-12920503-111-9078법인 세무조사
조사2국 조사관리과02-2114-3604~361202-737-81380503-111-7740조사관리업무
조사2국 조사1과02-2114-3724~373002-720-90310503-111-8985개인, 법인 세무조사
조사2국 조사2과02-2114-3814~382002-3674-78230503-111-8024개인, 법인 세무조사
조사3국 조사관리과02-2114-4010~401302-738-36660503-111-9146조사관리업무
조사3국 조사1과02-2114-4128~412902-733-25040503-111-9130재산제세 등 세무조사
조사3국 조사2과02-2114-4218~421902-929-21800503-111-9138재산제세 등 세무조사
조사3국 조사3과02-2114-4298~429902-922-52050503-111-9036재산제세 등 세무조사
조사4국 조사관리과02-2114-4508~450902-722-71190503-111-9184조사관리업무
조사4국 조사1과02-2114-4630~463102-765-13700503-111-9161법인 및 개인 세무조사, 범칙조사
조사4국 조사2과02-2114-4729~473002-762-67510503-111-9170법인 및 개인 세무조사, 범칙조사
조사4국 조사3과02-2114-4799~480002-763-78570503-111-9177법인 및 개인 세무조사, 범칙조사
국제거래조사국
국제조사관리과
02-2114-5005~500902-739-98320503-111-9216국제거래관련 세무조사
국제거래조사국
국제조사1과
02-2114-5104~510902-3674-55200503-111-9200국제거래관련 세무조사
국제거래조사국
국제조사2과
02-2114-5205~520902-3674-79320503-111-9209국제거래관련 세무조사

9. 결론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는 잘 활용한다면 손쉽게 세금업무를 보실 수 있는 플랫폼 입니다.

처음 이용할 땐 조금 복잡해서 어려울 수 있으나 고객센터 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충분히 극복하실 수 있으니 오늘 정리한 내용을 참고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근로장려금 조건, 신청방법 총정리(최신정보) – 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

근로장려금 조건, 신청방법, 지급액 조회방법, 신청기간 및 지급일이 언제인지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근로장려금을 신청하기 전에 꼭 알고있어야 하는 것들이니 신청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근로장려금 조건 총정리

기본적인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조건

내 가구유형 확인하기

먼저 본인이 어떤 가구유형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 단독가구 – 배우자,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
  • 홀벌이 가구 – 배우자,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배우자가 있다면 신청자 또는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00만원 미만이여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맞벌이가구 – 신청자와 배우자 모두 총급여액이 300만원 이상인 가구

내가 총소득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이제 본인이 총소득 요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총소득은 신청자와 배우자의 소득을 모두 합한 금액입니다.

  • 단독가구 – 2,200만원 미만
  • 홀벌이 가구 – 3,200만원 미만
  • 맞벌이 가구 – 3,800만원 미만

본인의 가구유형을 확인하신 후 소득요건에 부합하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근로장려금 조건(소득조건)

나의 재산요건 확인하기

내 재산요건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산요건 또한 만족하셔야지 근로장려금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재산요건 항목에 들어가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택, 토지, 건축물, 자동차, 전세금, 금융자산, 유가증권, 회원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등

현재 가구원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합계액이 2억원 미만이여야지 근로장려금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조건을 만족해도 근로장려금을 신청할 수 없는 사람

  •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분
  •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자
  • 거주자나 배우자가 전문직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경우

대학생(청년) 근로장려금 조건

대학생이나 청년들도 위의 조건을 만족하시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이나 청년이라고 따로 제시되는 근로장려금 조건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니 위에서 정리해드린 가구원요건, 소득요건, 재산요건 등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알바 근로장려금 조건

알바생도 위에서 정리해드린 가구원요건, 소득요건, 재산요건 등을 확인하시고 본인이 받을 수 있는지 보시면 되겠습니다.

2.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모바일로 근로장려금 신청하라는 안내문을 받은 경우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모바일 안내문을 받았다면 해당 내용에 신청하기 버튼이 있을 겁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손택스 신청화면으로 연결될 것 입니다.

그러면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옵니다.

거기에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7자리를 입력하시면 근로장려금 신청이 완료됩니다.

근로장려금 서면 안내문을 받은 경우

서면으로 안내문을 받으셨다면 총 4가지 방법 중 원하는 방법을 선택해 신청하시면 됩니다.

  • QR코드 신청
  • 인터넷 홈택스 신청
  • 모바일 홈택스(손택스) 신청
  • ARS 전화 신청

총 4가지 방법 중 원하는 신청방법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복잡해서 잘 모르시겠으면 1544-9944로 전화해 음성안내에 따라 신청하시면 됩니다.

근로장려금 서면 안내문이나 모바일 안내문을 모두 받지 않은 경우

근로장려금을 신청하라고 안내문을 받지 못한 경우엔 직접 홈택스에 접속해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
  • 신청/제출 메뉴 선택
  • 근로 자녀 장려금 선택
  • 신청하기 버튼 클릭

나는 잘 모르겠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참고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다라고 생각되시는 분들은 근로장려금 신청을 도와주는 상담센터로 전화해 물어보시면 됩니다.

상담센터 전화번호는 1566-3636 입니다.

해당 번호로 전화하시면 친절하게 신청방법을 알려줄 겁니다.

3. 근로장려금 지급액 조회 하기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근로장려금 지급액을 쉽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계산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는 아래에 남겨둘테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 2021년 하반기분 신청기간 – 2022년 3월 1일 ∼ 3월 15일
  • 2021년 정기분 신청기간 – 2022년 5월 1일 ∼ 5월 31일
  • 2021년 귀속 기한 후 신청 기간 – 2022년 6월 1일 ∼ 11월 30일
  • 2022년 상반기분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 ∼ 9월 15일

5. 근로장려금 지급일 언제일까?

2022년 3월에 신청하신 근로장려금은 2022년 6월 말까지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1년 전체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정기 신청은 9월에 지급할 것입니다.

6. 근로장려금 관련 자주하는 질문

근로장려금 조건 – 부모님이랑 살아도 받을 수있을까?

부모님이랑 살게되면 가구원에 포함되기 때문에 부모님 재산이 많다면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7. 결론

오늘은 근로장려금에 관한 내용을 가지고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근로장려금을 신청하시기 전에 꼭 알아야할 내용들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차량번호조회 무료로 하는 방법 – 소유자 확인, 타인차량번호, 주소 조회 등

차량번호조회 무료로 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타인차량번호 또는 내 차량등록번호를 통해 여러가지 이력들을 조회해보고 싶은 분들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차량번호조회 무료로 하는 방법

차량번호조회 무료로 하는 방법(차량등록번호 조회 방법)

자동차 365 사이트로 차량번호조회 하는 방법

자동차 365 사이트를 통해 차량의 통합이력 조회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자동차365 사이트 접속
  • 통합이력조회 메뉴 선택
  • 본인차량 조회, 타인차량정보 조회(소유자동의), 타인차량정보 조회(소유자 미동의), 매매용차량 조회, 차량정보 공개설정, 결제내역 조회 중 원하는 메뉴 선택
  • 로그인 진행(휴대폰, 간편인증, 공인인증서 및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가능)
  •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 바로 조회 가능
차량번호조회 무료로 하는 방법(자동차365 사이트)
통합이력조회 메뉴 선택
통합이력조회 무료로 하는방법2
원하는 메뉴 선택

카히스토리 사이트로 차량번호조회 하는 방법

카히스토리 사이트를 통해서도 차량번호조회가 가능합니다.

사고이력 조회, 무료 침수차량 조회, 무료 폐차사고 조회, 자동차보험료 조회 등이 모두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카히스토리 사이트 접속
  • 사고이력 조회, 무료 침수차량 조회, 무료 폐차사고 조회, 자동차보험료 조회 중 알고싶은 것 선택
  • 차량번호 또는 차대번호 입력 후 조회하기 버튼 선택
차량번호조회 무료로 하는 방법(카히스토리 사이트)
카히스토리 사이트에서 사고이력 조회, 무료 침수차량 조회, 무료 폐차사고 조회, 자동차보험료 조회 하는 방법

차량조회 소유자 확인하는법(차량번호로 소유자 확인 가능)

차량번호로 소유자 확인하는 것도 위에서 정리해드린 방법을 통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365 사이트나 카히스토리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차량번호 주소조회 방법

차량번호로 주소 조회 하는 방법도 위에서 설명드린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타인차량번호 조회 무료로 하는 방법

타인차량번호 조회도 자동차365 사이트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타인차량번호 조회의 경우 소유자 동의를 얻은 경우엔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소유자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에도 여러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차량번호 차주 조회 방법

차량번호 차주 조회도 위에서 정리해드린 사이트(자동차365, 카히스토리)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내 차량조회 쉽게 하는 방법

자동차365 사이트에서 토탈이력조회 메뉴를 선택하신 후 본인차량 조회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2. 차량번호조회 불법인가요?

타인차량조회는 불법이 아닙니다.

중고차 구매시 많은 분들이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그리고 자동차365 사이트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 입니다.

3. 결론

오늘은 차량번호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보통 중고차를 구매할 때 많은 분들이 이용하는 기능들이니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및 종류, 신청방법, 절차 총정리

임대아파트 입주조건종류 그리고 신청방법 및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대아파트에 입주를 원하시는 분들 혹은 청약을 넣으시려는 분들께서는 오늘 포스팅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임대아파트에 관한 개념을 한번에 정리할 수 있을 겁니다.

1. 임대아파트 종류

임대아파트는 국민 임대주택, 공공 임대주택, 영구 임대주택, 장기 전세주택으로 분류됩니다.

임대아파트라는 카테고리 안에 들어가지만 각 주택마다 특성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국민 임대주택

국민임대주택은 무주택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저소득층이란 소득 1~4분위 계층을 뜻 합니다.

국가재정과 국민주택기금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가 건설을 하며 공급하는 주택입니다.

저렴한 임대료가 특징이며 장기간(30년) 동안 임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분양전환은 되지 않습니다.

공공 임대주택(5년, 10년, 50년)

공공임대주택은 5년 또는 10년 동안 임대를 살다가 입주자에게 우선적으로 분양권을 줍니다. 만약 현재 살고 있는 임대주택이 마음에 든다면 입주자가 매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50년 공공임대주택은 임대만 가능하고, 분양전환은 되지 않습니다.

영구 임대주택

영구 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1989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전용면적 26.34제곱미터에서 42.68제곱미터 규모의 주택이 19만여호 건설됐고, 건설된 주택은 기초생활수급자와 같은 저소득층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됐습니다.

입주자격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다룰테지만 간단하게 보면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한부모가족 등에 해당되는 분들이 이용가능한 주택입니다.

장기 전세주택

장기 전세주택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 등에서 임대를 목적으로 건설하거나 매입하는 주택입니다.

전세계약은 20년 범위 내에서 이루워지는 임대주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입주를 하시려면 소득조건과 자산조건을 만족해야지 입주가 가능합니다.

2.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임대아파트는 4가지 종류(국민, 공공, 영구, 장기)가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럼 각 임대아파트마다 입주를 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국민임대아파트 입주조건

국민임대아파트 입주조건(소득, 자산)

국민 임대아파트에 입주하시려면 세대구성원 모두가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그리고 소득과 자산 조건이 충족되야지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

소득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70% 이하가 되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70% 기준

  • 1인 – 1,851,603원
  • 2인 – 3,065,866원
  • 3인 – 3,938,828원
  • 4인 – 4,358,439원
  • 5인 – 4,856,848원
  • 6인 – 5,315,858원
  • 7인 – 5,774,868원
  • 8인 – 6,233,878원

자산기준

자산기준은 총자산이 2억 8천 800만원 이하, 자동차 자산이 2,468만원 이하일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총자산은 토지, 건물, 자동차, 금융자산, 일반자산 등을 뜻합니다.

자동차 자산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한 차량 기준가액을 뜻 합니다.

공공임대아파트 입주조건

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격은 면적에 따라 다릅니다.

각 면적별 자격조건에 부합한다면 자산보유 기준만 만족하시면 됩니다.

자산보유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용 85제곱미터 이하 입주자격

모집공고일 당시에 임대아파트가 건설될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자, 무주택세대 구성원, 주택청약종합저축(입주자저축 및 청약저축 포함)에 가입한 자일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전용 85제곱미터 초과 입주자격

만 19세 이상, 주택청약종합저축(입주자저축 및 청약저축 포함)에 가입한 자라면 신청 가능합니다.

자산보유 기준

  • 부동산(토지, 건물) – 215,500,000원
  • 자동차 – 27,640,000원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조건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 국가유공자 또는 유족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한부모가족
  • 북한이탈주민
  • 장애인등록자
  • 65세 이상의 직계존속을 부양하는 자(소득이 일정금액 이하여야 함)
  •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50% 이하인 자

장기전세아파트 입주조건

장기전세 아파트 입주조건은 본인과 세대원 모두 무주택자이며 소득 및 자산보유 기준에 해당되야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

  • 전용면적 50제곱미터 미만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50% 이하인 자
  • 전용면적 50~60제곱미터 이하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70% 이하인 자
  • 전용면적 60~85제곱미터 이하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120% 이하인 자

자산기준

  • 토지 및 건축물 – 215,500,000원
  • 자동차 – 27,640,000원

3. 임대아파트 신청방법 및 절차

국민임대아파트 신청방법 및 절차

신청방법

  • LH 청약센터 홈페이지

선정절차

  • 현장 및 인터넷 신청
  • 서류제출대상자 발표
  • 서류접수
  • 소득 및 자산조사
  • 소득 및 자산 소명요청
  • 소명접수 및 심사
  • 당첨자 발표

공공임대아파트 신청방법 및 절차

신청방법

  • LH 청약센터 홈페이지

선정절차

  • 입주자 모집공고
  • 청약접수(현장, 인터넷)
  • 당첨자 발표
  • 자격심사
  • 소득 및 자산 소명
  • 계약체결

영구임대아파트 신청방법 및 절차

신청방법

  • 해당 지역의 동사무소, 구청에서 신청 가능

선정절차

  • 입주신청
  • 예비입주자 명단작성
  • 게약안내
  • 임대차계약체결
  • 입주

장기전세아파트 신청방법 및 절차

신청방법

  • LH 청약센터 홈페이지

선정절차

  • 신청(현장, 인터넷)
  • 서류제출대상자 발표
  • 서류제출대상자 서류접수
  • 소득 및 자산조사
  • 소득 및 자산 소명요청
  • 소명접수 및 심사
  • 당첨자 발표

4. 결론

임대아파트에 입주를 희망하시는 분들은 오늘 정리한 내용을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자신이 자격조건에 부합한지를 확인하시고 절차에 맞춰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추천글

나스닥 장전거래 확인 방법 및 사이트 : 미국주식 하기 전 필독

나스닥 장전거래 확인 방법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미국주식을 시작하시려는 주린이 분들을 위해 미국주식 거래시간프리마켓 주문방법도 같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제 막 미국주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시작하시려는 분들은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1. 나스닥 장전거래 확인하는 방법과 확인 가능한 사이트

실시간 나스닥 주식거래장전거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미국주식은 실시간 주가를 주식앱을 통해 볼 수 없습니다.(유료로는 이용 가능)

해외주식을 하기위해 키움증권 영웅문S 글로벌과 같은 어플을 다운받고 들어가 보시면 실시간 주가인 것 같지만 실제로는 15분 지연된 주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유료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주가를 볼 수도 있지만 이제 막 주식에 입문했거나 수익이 별로 나지도 않는 상황에서 유료서비스를 이용하기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나스닥 실시간 주가와 장전거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나스닥 장전거래 확인이 가능한 사이트는 인베스팅 닷컴

오늘 소개할 사이트는 인베스팅 닷컴야후 파이낸스 입니다.

둘 중에 마음에 드는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모바일 앱도 지원하기 때문에 PC로 이용하기 싫으신 분들은 스마트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셔도 됩니다.

2. 미국주식(나스닥) 거래시간은 언제일까?(장전거래, 정규장거래)

미국주식은 미국시간에 맞춰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국내주식과는 조금 다릅니다.

게다가 썸머타임이라는 개념이 있기 때문에 썸머타임이 적용되는 시기에는 장전거래와 정규장 거래 시간이 모두 다릅니다.

처음 하시는 분들은 이 부분에서 조금 혼란스러우실 겁니다. 그러니 제가 정리한 내용을 꼭 보시기 바랍니다.

2020년 썸머타임은 2020.03.08~2020.10.31까지 입니다. 그리고 2020.11.01~2021.03.10까지는 썸머타임이 적용되지 않은 시간에 장이 열리게 됩니다.

그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썸머타임 적용시 미국주식 거래시간(장전거래 및 정규장 거래)

  • 장전거래 – 21:00~22:30(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 정규장거래 – 22:30~05:00(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썸머타임 미적용시 미국주식 거래시간(장전거래 및 정규장 거래)

  • 장전거래 – 22:00~23:30(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 정규장거래 – 23:30~06:00(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3. 미국주식 프리마켓 주문 방법 – 장전거래 원하면 참고

장전거래를 통해 미국주식을 사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프리마켓은 기업의 실적이나 호재 등이 있을 때나 악재 등이 있을 때 정규장 전에 미리 주식을 사고 팔 수 있는 시장 입니다.

프리마켓 주문방법은 국내주식을 사고 파는 것처럼 똑같이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프리마켓을 이용하게 되면 한가지 단점이 존재합니다.

프리마켓 이용 시 단점

프리마켓을 이용해 주식을 매수 또는 매도를 하게되면 거래 수수료가 더 비쌉니다.

정규장이 아니기 때문에 정규장에서 지불하는 수수료보다 조금 더 비싸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모든 증권사가 프리마켓 주문을 지원하지 않는다.

증권사마다 프리마켓을 지원하는 곳이 있고, 지원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참고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키움증권은 프리마켓을 지원합니다.

추천글

4. 결론

오늘은 나스닥 장전거래 확인 방법과 확인 가능한 사이트(인베스팅닷컴, 야후 파이낸스)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그리고 미국주식을 처음하시는 분들을 위해 거래시간과 프리마켓에 대한 개념 등에 대해 같이 정리했으니 주린이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제 금시세 조회 : 삼성 금거래소, 쓰리엠에서 가능

국제 금시세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오늘 제가 소개할 곳은 실시간으로 금시세, 은시세, 환율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는 삼성 금거래소와 한국 금거래소 쓰리엠 입니다. 그럼 어떻게 찾아본느지 알아보겠습니다.

1. 국제 금시세 조회는 삼성금거래소에서 가장 쉽게 할 수 있다.

금시세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대부분 아는 사이트일 것입니다. 국제 금시세와 은시세, 백금, 파라듐, 청화금 등의 시세를 모두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국제 금시세 조회 사이트(삼성 금거래소)

그리고 환율정보도 함께 볼 수 있어 원화가치와 달러가치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 특징을 이야기하자면 소비자 시세에 대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소비자 시세란 소비자가 금을 구매할 때와 판매할 때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인데요.

지금 금을 구매하시려는 분들이나 가지고 있던 금 목걸이, 반지 등과 같은 악세사리를 파시려고 하는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은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2. 한국 금거래소 쓰리엠에서도 국제 금시세, 은시세, 백금 등의 시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금시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두번째 사이트는 한국 금거래소 쓰리엠 입니다. 여기도 아까 소개한 삼성 금거래소와 거의 비슷하지만 약간 다릅니다.

일단 금, 은, 백금, 파라듐, 청화금, 청화은 등의 시세정보를 국내 도매시세, 국내 소매시세로 나눠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순금, 18k, 14k, 백금, 은의 매입시세를 참조하실 수 있고, 전일대비 얼마나 올랐는지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금거래소 또한 실시간으로 환율정보를 보실 수 있으며 금과 은의 국제 시세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국제 금시세를 조회하려고 하는데 삼성 금거래소와 한국 금거래소 중에 어디가 더 좋을까?

금시세를 실시간으로 모두 볼 수 있기 때문에 아무대나 선택하시면 됩니다.

둘다 들어가보신 다음에 자기가 이용하기 편한 사이트를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택기준에는 웹사이트 속도, 내가 필요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 사이트 디자인 등을 가지고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삼성금거래소를 선호합니다. 그 이유는 뭔가 더 정돈된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추천글

4. 결론

오늘 금시세를 실시간으로 어떻게 조회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오늘 제가 추천한 곳은 한국 금거래소 쓰리엠과 삼성 금거래소 입니다. 둘다 유용한 사이트이니 아무대나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매매 부동산 수수료는 얼마일까? 계산법과 계산기 활용법 정리

매매 부동산 수수료 계산법계산기를 활용해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원룸 등을 매매 또는 전세 또는 월세 계약을 하실 때 알아두시면 유용할 것 입니다. 자세한 계산법 지금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1. 매매 부동산 수수료 계산법 1분 정리

부동산 수수료는 지역마다 다릅니다. 그리고 아파트와 같은 주택, 오피스텔, 상가, 토지 등에 따라서도 수수료 계산법이 모두 다릅니다.

그 이유는 지역마다 세율이 달라서 입니다.

그래서 내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세율을 알고 있어야만 부동산 수수료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서울과 비슷하기 때문에 서울을 예로들어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 부동산 매매 시 상한요율과 한도액

5천만원 미만일 때 상한요율은 0.006 입니다. 그리고 한도액은 25만원 입니다.

매매 비용이 5천만원에서 2억원 미만인 경우 상한요율은 0.005이고, 한도액은 80만원 입니다.

2억원에서 6억원 미만일 때는 상한요율은 0.004 입니다. 한도액은 없습니다.

이번엔 조금 주의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상한요율을 보면 계속 0.001씩 떨어졌기 때문에 당연히 0.003이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조금 다릅니다.

6억원에서 9억원 미만일 경우에는 상한요율이 0.005이고, 한도액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9억원 이상인 매물일 경우 상한요율은 0.009이내로 공인중개사와 협의해 수수료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제 좀 정리가 되시나요? 조금 더 한 눈에 들어올 수 있게 이미지 하나 첨부할테니 참고해주세요. 주택과 오피스텔 상한요율에 대한 자료입니다.

매매 부동산 수수료(주택)
주택 상한요율
매매 부동산 수수료(오피스텔)
오피스텔 상한요율

2. 매매시 부동산 수수료를 부동산계산기를 통해 계산하면 아주 편리하다.

부동산 수수료율을 지역마다 찾아보기 번거로우실 겁니다. 그리고 직접 계산해보기도 귀찮고요. 요즘에는 이런걸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계산기가 있습니다. 이걸 활용하시면 아주 편리합니다.

네이버부동산 수수료 계산기라고 검색해보시면 중개보수 계산기라고 나옵니다.

여기에 매물종류(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주택 외 부동산), 거래지역, 거래종류(매매/교환, 전세 임대차, 월세 임대차), 거래금액, 협의 보수율(입력 안해도됨)을 입력하시면 알아서 자동으로 부동산 수수료를 계산해서 알려줍니다.

3. 아파트, 오피스텔 매매 시 부동산 수수료를 계산해보자.

위에서 설명드린 네이버 부동산 수수료 계산기를 활용해보겠습니다.

먼저 매물종류에서 아파트를 선택하겠습니다. 오피스텔의 수수료가 궁금하신 분들은 주거용 오피스텔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거래지역은 서울시이고, 거래종류는 매매/교환 입니다. 거래금액은 3억원으로 설정하겠습니다.

부동산 수수료 상한요율은 0.4%이고, 최대 중개보수 수수료는 1,200,000원 입니다.

직접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주 간단하게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매매 수수료를 계산해봤습니다.

4.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 전세를 얻을 때 부동산 수수료는 얼마나 필요할까?

이번엔 매매가 아닌 전세일 경우 부동산 수수료가 얼마나 나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와 동일하게 부동산 수수료 계산기를 활용해보겠습니다.

아까는 아파트를 했으니 이번엔 매물종류를 주거용 오피스텔로 해보겠습니다.

거래지역은 전국이고, 거래종류는 전세 임대차 입니다. 거래금액은 아까보다 조금 더 비싼 6억원으로 설정해보겠습니다. 아주 비싼 오피스텔이네요.

그리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상한요율은 0.4%이고, 최대 중개보수 수수료는 2,800,000원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피스텔과 주택의 상환요율은 조금 다르다라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천글

5. 결론

매매 부동산 수수료 계산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부동산 계약(매매, 전세, 월세)을 하실 때 수수료가 나갑니다. 이걸 계산할 때는 부동산 계산기를 활용하시는게 가장 편리하고 간편합니다.

그러니 제가 설명드린 방법대로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와 세율 계산방법 및 면제조건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세율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해 알려드려고 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양도세 면제조건에 대해서도 정리해볼테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에 부동산 관련 세금이 많이 오르고 바껴서 계산하는데 어려움이 많으실텐데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을 활용하시면 간단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1.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이 방법을 이용하면 1가구 1주택, 2주택, 3주택 양도세를 모두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앞으로 법이 바껴도 법에 대해 잘 몰라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요? 바로 홈택스 양도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계산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홈택스 양도소득세 계산기 접속

먼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양도소득세 계산기 페이지에 접속해주시기 바랍니다.

접속 방법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세금 종류별 서비스(양도소득세) – 양도소득세 미리계산(모의계산) – 1개 부동산 양도 시 계산 옆에 있는 계산하기 버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양도가액, 취득가액 등 입력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기본사항(양도일자, 취득일자, 양도물건종류), 거래금액(양도가액, 취득가액, 기타필요경비), 기타사항(미등기 양도 여부, 상속 받은 자산인지 여부, 1가구 3주택 또는 2주택 여부) 등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1가구 3주택 양도세 계산 결과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 계산결과

위와 같이 선택을 하셨으면 세액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세율, 산출세액, 자진납부할세액 등을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2.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율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양도소득세에 관한 법이 많이 바껴서 헷갈리실 겁니다. 게다가 인터넷을 봐도 예전 자료들만 있지 새롭게 갱신된 자료들은 많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 양도소득세율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변경된 양도소득세율 표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율 최신자료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율 추가설명 자료

3. 1가구 3주택 양도소득세 면제방법(비과세)

3주택자가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간단한 예시를 하나 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물론 지금 드는 예시에 여러분들이 해당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주택자 주택 매도 시 양도소득세 면제 받는 방법에 대한 예시

철수가 2015년에 k주택L주택을 매입했습니다. 그리고 2016년에 M주택을 하나 더 매입했습니다. 이제 철수는 1가구 3주택자가 됐습니다.

이제 이 3개의 주택을 2022년에 모두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매도를 해야 양도소득세를 면제(비과세) 받을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세는 1주택이 되고 2년이상이 지나야 1가구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K와 L주택을 지금 팔고, 마지막에 판 주택을 기점으로 2년이 지난 후에 나머지 M주택을 매도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마지막에 매도한 주택에 대한 양도세는 비과세로 적용됩니다.

추천글

4. 결론

다주택자라면 주택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가 부담되실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알고있어야 하는 내용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주 바뀌는 법이기 때문에 계산기를 꼭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